知的資産創造 2020年 11月号 발췌
시리즈 디지털시대의 리커링 비즈니스 구축
제8회 자동차업계에서의 구축 사례와 시사
▣ CONTENTS
Ⅰ. 자동차 업계가 직면한 경영과제
Ⅱ. 리커링 비즈니스의 동향
Ⅲ. 리커링 모델 구축을 위하여
▣ 요약
Ⅰ. 자동차 업계는 현재 비연속적인 시장환경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CASE(Connected, Autonomous, Shared & Service, Electric)라고 불리는 100년에 한 번 오는 큰 기술혁신에 직면하여, 그 결과 MaaS(Mobility as a Service)로 대표되는 서비스 사업화가 일어나, 이미 자동차 업계는 자동차라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더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영향으로 「이동」 그 자체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이동중의 퍼스널 공간에 대한 요망은 강력해, 지방도시의 새로운 교통 인프라로서도 MaaS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Ⅱ. 자동차업계에서의 리커링 대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우선 MaaS의 세계적인 동향으로서 ➀ Whim의 성과와 현재의 대처 ➁ OEM의 대처 ➂ HERE사 등 타 플레이어의 대처에 대해서도 말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차회사의 리커링 비즈니스로서 ➀ OEM의 리커링 비즈니스 ➁ 메가 서플라이어의 리커링 비즈니스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Ⅲ. CASE에 직면한 자동차 업계는 100년에 한 번 있는 큰 업계 변화뿐만 아니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시장의 극적인 변화에도 직면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리커링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빌리티 서비스로서 MaaS사업에 참여함으로서 제품을 전부 팔아버리는 것이 아닌, 사용에 따른 수익 획득 스킴을 구축해야만 한다. 또한 내연기관에서 전기자동차로 변화되면, 애프터마켓도 크게 변한다. CASE 시대에 맞추어 진단서비스와 조합하는 등의 리커링 모델 구축이 요구된다.
▣ 집필자 정보
青嶋 稔 (아오시마 미노루) 컨설팅사업본부 시니어파트너
下 寛和 (시모 히로카즈) 컨설팅사업본부 상급컨설턴트
藤田 誠人(후지타 아키히토) NRI America Research and Consulting Division Senior Consultant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