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的資産創造 2021年 3月号 발췌
시리즈: 제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기업전략과 일본기업의 역전 시나리오
제7회 디지털화에 따른 FA기업의 경쟁축 변화
▣ CONTENTS
Ⅰ. 변화하는 제조 지원기업(FA·로봇기업들)의 경쟁축
Ⅱ. 제조 코디네이터 포지션에 대한 FA기업의 경쟁축 변화
Ⅲ. 제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기업전략과 일본기업 역전의 시나리오
▣ 요약
Ⅰ. 인더스트리4.0과 제조업의 디지털화가 진행되어, 산업의 제조를 담당해 온 로봇·공작기계 등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업을 비롯한 FA기업(팩토리 오토메이션 기업)의 모습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Ⅱ. 자동차업계에서의 리커링 대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우선 MaaS의 세계적인 동향으로서 ➀ Whim의 성과와 현재의 대처 ➁ OEM의 대처 ➂ HERE사 등 타 플레이어의 대처에 대해서도 말하고자 한다. 또한 자동차회사의 리커링 비즈니스로서 ➀ OEM의 리커링 비즈니스 ➁ 메가 서플라이어의 리커링 비즈니스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중국기업의 급속한 캐치업과 디지털 시뮬레이션, 제어기술의 진전에 따라, 기기의 상대적 가치가 떨어져, FA상품의 범용화(commodity 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고객에 대한 가치제공의 축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들 움직임의 영향으로 로봇 메이커, 소프트웨어 기업, 라인빌더, EMS기업과 같은 주요한 제조 관련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제조업의 파트너· 선도역인 「제조 코디네이터」라는 역할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해 가고 있다.
Ⅲ. FA기업은 하드·소프트 자체가 아닌, 고객의 제조업에 대해 경영, 엔지니어링, 오퍼레이션 서비스의 3개의 시점에서 과제해결을 도모하는 솔루션형으로 부가가치를 전환해 갈 필요가 있다. 이 접근법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집필자 정보
小宮 昌人(고미야 마사히토) 글로벌 제조업 컨설팅부 주임 컨설턴트
淺桐 祐 (아사기리 류) 마케팅 사이언스 컨설팅부 컨설턴트
岩﨑 はるな (이와사키 하루나) 글로벌 제조업 컨설팅부 컨설턴트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