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 Insight

知的資産創造 2021年 5月号 발췌

코로나 사태 속에서 CIO가 강구해야 할 시책

CONTENTS

Ⅰ 코로나 사태로 인해 일본기업의 실적은 대폭 악화
Ⅱ 코로나 사태 속에서도 기업의 IT・디지털 투자 의욕은 비교적 왕성
Ⅲ 기업이 중시하고 있는 IT・디지털 투자 영역
Ⅳ 장차 발생할 수 있는 위기에 대비한 사업지속・재해복구 계획이 필요
Ⅴ IT・디지털 전략상의 우선도
Ⅵ 다음 시책을 위한 대처도 가속화해야 함
Ⅶ 다음 시책을 재빠르게 실현하기 위한 사전준비

요약

Ⅰ. 노무라종합연구소(NRI)는 긴급사태 선언이 발령 중이던 2020년 5월, 대기업 CIO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에 관한 Web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0년도의 IT・디지털 투자배분을 늘릴 의향이 당초 계획보다 가장 높았던 부문은 ‘업무방식 개혁‘, 그 다음이 ‘고객접점 업무’와 ‘IT 인프라’로 나타났다.
Ⅱ. IT・디지털 전략상, 당장 우선도를 높이는 시책으로서는 ‘페이퍼리스화‘, ‘리모트워크화‘, ‘채용의 디지털화(온라인 면접 및 AI활용 등)’, 업무방식 개혁을 위한 대처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이 ‘비대면 영업 강화(온라인 영업 툴 도입 등)’ 및 ‘판매채널의 디지털화(EC・모바일 앱 도입)’ 등의 고객접점 업무 관련으로 나타났다.
Ⅲ. 앞서 말한 당장 우선도를 높이는 시책을 제외하고, 향후 우선도를 높여갈 시책, 즉 ‘우선도를 높일 예정 (2020년도), ‘우선도를 높일 예정(2021년도 이후)’의 비율이 높았던 시책 은 ‘제품판매의 서비스화(자산・설비의 가동관리, 서브스크립션 등)’ 및 ‘캐시리스화‘, ‘서플라이 체인에서의 기업간 공유 정보‘, ‘시스템의 이완 결합화(마이크로 서비스 등)’ 등이다. 이들 시책은 업무방식의 개혁 및 고객접점 업무의 재검토로 이어지는 ‘다음 시책’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찬스로 인식하여 다른 기업에 앞서 다음 시책을 위한 대처를 가속화해야 할 것이다.

PDF전문보기

집필자 정보

塩田郁美 (시오타 이쿠미) IT매니지먼트 컨설팅부 주임 컨설턴트
高木大輔 (다카기 다이스케) IT매니지먼트 컨설팅부 주임 컨설턴트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