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 Insight

知的資産創造 2021年 10月号 발췌

모네타이즈 플랫폼으로서의 스마트 시티

CONTENTS

Ⅰ. 스마트시티 추진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드러난 과제
Ⅱ. 스마트시티 정비 효과 및 경제성
Ⅲ. 스마트시티의 모네타이즈 방법
Ⅳ. 스마트시티의 모네타이즈를 위한 근본적인 과제
Ⅴ. 모네타이즈 기점에서 본 새로운 스마트시티 콘셉트 안

요약

1. 노무라종합연구소(NRI)에서는 과거 수년간 다수의 국내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을 지원해 왔다. 그 안에서 분명히 드러난 과제 중 하나가 다양한 사업으로 구성되는 스마트시티를 모네타이즈 (Monetize∙현금화)하여 수익화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2. 스마트시티의 정비 효과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산 결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도시 OS의 정비∙운용 비용 등 스마트시티 특유의 비용은 기존의 도시 조성에 추가로 들어가는데, 그 정비 효과의 상당수는 이용자에게 과금하기 어려운 공공재 공급이다. 이 정비 효과가 CAPEX, OPEX를 상회하지 않으면 애초에 도시를 스마트화하는 의미는 없어지기 때문에 그 효과의 내용이나 산정 사례를 소개하겠다.
3. 지금까지의 검토를 토대로 스마트시티의 모네타이즈 방법으로서 '과금 가능성×도시 가치 향상 가능성'의 매트릭스에 따른 7가지 분류와 그 사례를 제시한다.
4. 현시점의 스마트시티는 스마트 서비스 혁신성의 한계와 경제 규모 · 지리적 범위의 한계라고 하는 근본적인 과제가 존재하기때문에 모네타이즈가 훨씬 어려운 상황이다.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채산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서비스 · 애그리게이터(Aggregator)의 콘셉트가 유효할지도 모른다.
5.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집적사업과 모네타이즈라는 관점에서 스마트시티의 이상적인 상을 재정리하고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 5개의 콘셉트를 제시한다.

PDF전문보기

집필자 정보

이시가미 케이타로(石上 圭太郎)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사회 인프라그룹 프린시
모토하시 타쿠로(本橋 巧朗) NRI 아메리카 시니어 컨설턴트
이마이 료타(今居 椋太)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컨설턴트
도리이 마미코(鳥居 真美子)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컨설턴트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