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的資産創造 2021年 10月号 발췌
특집: 스마트시티의 지속 가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스마트시티 개발에서 파트너링의 중요성과 PMO의 역할
▣ CONTENTS
Ⅰ. 스마트시티 개발에서 파트너링의 중요성
Ⅱ. 스마트시티의 유형 ∙ 발전 단계와 파트너링
Ⅲ. 스마트시티 검토 체제에 관련된 과제와 PMO의 필요성
Ⅳ.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설립 ∙ 참여를 위해서
▣ 요약
1 . 스마트시티는 구상 ∙ 계획 단계에서 개발 ∙ 구현 단계로 이행되고 있으며 파트너링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통상의 도시 개발 이상으로 복잡하고 다수의 다양한 스테이크홀더가 관여하고 있으며 상호 간의 밀접한 제휴가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인프라에 관련된 스테이크홀더도 복수 참여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2. 계획에 참여하는 스테이크홀더와 그 참여 타이밍은 각 스마트시티의 유형(중시하는 가치 ∙ 서비스)과 발전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노무라종합연구소(NRI)는 스마트시티를 세 종류의 유형, 네가지 발전단계로 분류해 파트너링의 변천을 정리하였다.
3. 사내외의 다양한 스테이크홀더의 모집 ∙ 관리 ∙ 이해 조정 ∙ 의사 결정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주관 회사는 검토 제체에 관련된 상당한 고민을 떠안고 있다. 검토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관계자의 의견 조정, 계획 입안, 진척 관리 등을 실시하는 PMO의 기능이 꼭 필요하다. 스마트시티의 유형과 발전 단계별로 검토 ∙ 운영 형태가 달라지므로 PMO에게 요구되는 역할도 변화한다.
4.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주관 회사는 지향하는 도시의 유형, 발전의 시간축 등 방향성을 설정한 다음, 적절한 파트너링, 파트너 간의 의견 조정을 실행해 조기에 PMO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참여 회사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최적의 형태를 모색하는 단계에 있음을 이해하고 자사가 해당 스마트시티에 무엇을 요구할지 방침으로 결정한 다음, 적절한 타이밍에 파트너로 참여할 수 있도록 주관 회사에 요청해야 한다.
▣ 집필자 정보
다카하시 유키(高橋 祐樹)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사회 인프라그룹 주임 컨설턴트
가와테 가이(川手 魁)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모빌리티 ∙ 로지스틱스그룹 컨설턴트
오노 마이(小野 真衣)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사회 인프라그룹 컨설턴트
마타키 다카마사(又木 毅正) 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사회 인프라그룹 매니저
이시가미 게이타로(石上 圭太郎)NRI 어번이노베이션 컨설팅부 사회 인프라그룹 프린시펄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