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 Insight

知的資産創造 2021年 10月号 발췌

특집: 스마트시티의 지속 가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ASEAN내의 지자체 주도 스마트시티의 현상과 과제

CONTENTS

Ⅰ. ASEAN의 도시 구조
Ⅱ. 대표적인 지자체 주도 스마트시티에 관한 대처
Ⅲ. 일본의 도시과제와의 동질성으로 살펴본 연계 가능성과 접근 방향성

요약

1. ASEAN의 성장은 수도 및 주도 등의 중급 도시가 크게 견인하고 있으며, 각국의 총GDP 중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성장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는 ASEAN에 혼잡, 빈곤, 치안, 소득격차와 같은 다양한 도시 과제를 초래하고 있다.
2. ASEAN에서 도시과제의 현재화가 특히 우려되는 ASCN 26개 도시를 중심으로, 스마트 디지털 기술 투자와 관련된 지원이 기대되는 EU, 일본, 중국 등과의 복수국 연합 및 국가 레벨에서의 스마트시티 관련 파트너십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3. ASEAN에서는 각국의 지방 지자체가 개발을 주도하는 브라운필드에 대한 대처도 많이 볼 수 있으며, 그 대부분이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그린필드에 비해 성공사례를 다른 스마트시티에 수평전개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4. 각국의 도시에서는 일정 정도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주도 등의 중급도시가 추종해 올 가능성이 높다. 대표적 예로서 인도네시아의 반둥을 들 수 있으며, 중국 화웨이 등은 트렌드를 재빨리 파악하여, 이미 반둥시의 대처에 참여하여 실적을 내고 있다.
5. 중급도시의 스마트시티 대부분이 아직 구상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 벤더 등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 단계에서 일본이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6. 멀티모달 교통 어플 및 쓰레기 집적∙관리의 고도화 등 일본과 동질성이 있으며, 복수 국가∙도시에서 현재화되고 있는 도시과제 및 기술 니즈는 몇 가지 존재한다.
7 .접근방법으로는 위와 같은 도시과제와 니즈에 대해 일본기술을 전개해 나가는 방법에 더하여, 해외기술을 일본의 도시과제에 적용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PDF전문보기

집필자 정보

류 타이코(劉 泰宏)
Nomura Research Institute Singapore Pte. Ltd.
Consulting Division, Business Transformation Department
Department Head

소메야 료다이(染谷 凌大)
Nomura Research Institute Singapore Pte. Ltd.
Consulting Division, Senior Consultant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