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 Insight

知的資産創造 2022年 2月号 발췌

[특집] 현지에서 본 중국의 신형 인프라 정비

중국 차세대 도시의 디지털 트윈 시티화

CONTENTS

Ⅰ. 중국 차세대 도시를 지탱하는 디지털 트윈
Ⅱ. 중국의 디지털 트윈 시티 구조
Ⅲ. 중국 디지털 트윈 시티의 현 위치와 선행 사례
Ⅳ. 디지털 트윈 시티를 실현하는 길
V. 군맹무상에서도 앞으로 전진하는 힘

요약

1. 디지털 트윈은 이미 중국 차세대 도시의 표준 장비가 되었다. 중국에서는 디지털 공간의 정비를 통해 도시 경제의 생산성 향상과 실시간으로 도시를 운영하여 철저히 매니지먼트 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한다는 관점에서, 도시의 새로운 경제 생산, 사회의 관리 방식을 바꾸기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시 경영 응용이 중요시되고 있다.
2. 중국의 디지털 트윈 시티의 중추에는 시티브레인(도시의 두뇌)이라고 불리는 도시를 매니지먼트하는 플랫폼이 있다. 시티브레인은 도시의 데이터 자산 관리 시스템, 디지털 트윈 모델, 운영 시스템, 이렇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 시스템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가치를 발휘한다.
3. 중국에서는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사회 구현을 달성한 도시가 이미 등장했다. 선행 도시를 중심으로 앞으로는 고도화된 분석 · 예측과 응용을 목표로 하는 국면에 돌입할 것이다. 또 중국과 일본의 디지털 트윈 시티에 대한 생각의 주된 차이는, 중국은 계획에서 운영까지, 도시의 매니지먼트에 관련해 전방위로 전개하는 유스케이스 창출이 상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4. 중국에서는 2025년을 목표로 많은 도시에서 디지털 트윈 시티 기반 기술을 구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 시티는 다양한 첨단 기술의 융합체라는 특성이 있어 전방위적인 유스케이스가 예상된다. 또 이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산업 생태계의 지지와, 복수의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관민 제휴 파트너십이 필요하며 과제를 해결하면서 완성도를 높여 갈 것으로 기대된다.

PDF전문보기

집필자 정보

오 카노 쇼운 (岡野 翔運) NRI 상해 산업2부 시니어 컨설턴트
Wang Yuezhi (王 佑之) NRI 상해 미래 창신 센터 주임 컨설턴트

*부서와 직책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